경제 용어 13

한국의 AI지수 순위는?

2024년 9월 19일, 영국의 데이터 분석 미디어인 토터스 미디어(Tortoise Media)는 다섯 번째 글로벌 AI 지수(The Global AI Index)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평가에서 미국은 인재(Talent), 인프라(Infrastructure), 연구(Research), 개발(Development), 상업화(Commercialization) 등 5개 부문에서 선두를 차지하며, 인공지능 분야에서의 독보적인 위치를 재확인했습니다.글로벌 AI 지수란?글로벌 AI 지수는 전 세계 83개국의 인공지능 역량을 평가하는 지표로, 3개 부문(pillar), 7개 항목(sub-pillar), 23개 세부 항목(category)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각 국가의 AI 개발 및 활용 능력을 종합적으..

경제 용어 2025.02.27

상호관세와 보복관세의 차이점

1. 상호관세 (Reciprocal Tariff)✅ 개념국가 간 무역에서 동일한 수준의 관세를 적용하는 방식A국이 B국 제품에 10% 관세를 부과하면, B국도 A국 제품에 동일한 10% 관세를 부과하는 형태주로 공정한 무역 관계 유지를 위한 조치✅ 목적특정 국가가 자국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를 일치시켜 무역 조건을 동등하게 맞추는 것무역 협정에서 서로 동일한 조건을 유지하도록 협상할 때 사용됨✅ 예시A국이 자국 제품에 대해 B국이 5% 관세를 부과하자, A국도 B국 제품에 동일한 5% 관세를 적용 2. 보복관세 (Retaliatory Tariff)✅ 개념상대국의 불공정한 무역 조치에 대한 대응으로 부과하는 관세상대국이 자국에 과도한 관세를 부과하거나 무역 장벽을 높이면, 이에 대한 보복 조치로 관세를 부과..

경제 용어 2025.02.17

리쇼어링(Reshoring)이란? 해외로 나간 공장이 다시 돌아오는 이유

최근 경제 뉴스에서 "리쇼어링(Reshoring)"이라는 단어를 자주 볼 수 있습니다. 리쇼어링이란 해외로 이전했던 공장을 다시 본국으로 되돌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오랫동안 많은 기업들이 생산비 절감을 위해 해외로 공장을 옮기는 "오프쇼어링(Offshoring)"을 진행했지만, 최근에는 다시 본국으로 돌아오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왜 기업들은 공장을 해외로 옮겼을까? (오프쇼어링)과거 많은 기업들은 비용 절감을 위해 해외로 공장을 이전했습니다. 대표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저렴한 인건비: 중국, 베트남 등 아시아 국가들은 인건비가 저렴하여 생산비 절감 가능세금 및 규제 혜택: 일부 국가는 해외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세금 감면 등의 혜택 제공원자재 접근성: 필요한 원자재를 현지에서 쉽게 확보 가능글..

경제 용어 2025.02.16

거시경제와 내수경제: 차이점과 의미

현대 경제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거시경제’와 ‘내수경제’는 국가의 경제 상황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이 두 가지 개념은 국가 전체 경제의 흐름과 내부 시장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거시경제와 내수경제의 의미, 차이점, 그리고 이들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1. 거시경제란 무엇인가?‘거시경제(Macroeconomics)’는 말 그대로 국가 전체 또는 세계 경제의 큰 흐름을 연구하는 경제학의 한 분야입니다. 거시경제는 일반적으로 한 국가의 경제 활동을 포괄적으로 분석하며, 주요 연구 대상에는 국내총생산(GDP), 실업률, 인플레이션, 재정 정책, 통화 정책 등이 포함됩니다.거시경제의 주요 요소GDP(국내총생산): 한 국가에서..

경제 용어 2025.02.12

재정 정책과 통화 정책: 경제를 조율하는 두 가지 중요한 수단

경제는 우리 삶의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리고 이 경제를 조절하고 안정시키기 위해 정부와 중앙은행은 다양한 정책을 사용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두 가지 정책이 바로 재정 정책과 통화 정책입니다. 이 두 정책은 경제 성장을 촉진하거나 경기 침체를 완화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로 작용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재정 정책과 통화 정책의 개념과 차이를 설명하고, 이 두 정책이 어떻게 경제를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재정 정책이란 무엇인가? 재정 정책은 정부가 경제 활동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정책입니다. 주로 정부의 세금과 지출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경제 성장을 촉진하거나 경기 침체를 완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정부는 재정 정책을 통해 경제 ..

경제 용어 2025.02.07

부가가치세: 우리가 소비하는 동안 보이지 않게 내는 세금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수많은 소비를 하고 있습니다. 커피를 한 잔 마시거나, 마트에서 장을 보거나, 영화관에 가는 등 생활 속의 모든 소비는 우리에게 친숙한 일입니다. 하지만 이 소비 속에는 우리가 눈으로 쉽게 보지 못하는 세금이 숨어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바로 부가가치세입니다. 부가가치세란 무엇인가?부가가치세는 물건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즉, 우리가 물건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할 때마다 이 세금을 내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세금은 구매 영수증이나 명세서에서 별도로 기재되어 있지 않거나, 우리가 신경 쓰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쉽게 인식되지 않습니다.부가가치세는 간접세로 분류됩니다. 이는 세금을 직접적으로 정부에 납부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물건을 구매할 때..

경제 용어 2025.02.07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경제의 양면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경제의 양면성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은 경제에서 자주 언급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 두 용어는 모두 물가 변동과 관련이 있으며, 각각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들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쉽게 풀어보겠습니다.인플레이션이란?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물건 값이 오르고,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의 양이 줄어드는 것입니다. 즉,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현상을 뜻합니다.예를 들어, 오늘 1,000원으로 사던 물건이 내년에 1,100원이 되었다면, 이는 인플레이션이 일어난 것입니다. 물가가 오르면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지출해야 하는 금액이 늘어나게 되죠.인플레이션의 ..

경제 용어 2025.02.05

공매도란?

공매도란 무엇인가?공매도는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하락할 때 이익을 보는 투자 방식입니다. 보통 주식을 먼저 사고 나중에 파는 것이 일반적인 거래 방식이라면, 공매도는 그 반대로 주식을 먼저 팔고 나중에 사는 투자 전략입니다. 즉, 주식을 빌려서 매도하고, 나중에 주가가 떨어지면 그 주식을 다시 사서 빌린 주식을 갚고 차익을 남기는 방법입니다.쉽게 말하면, 주가가 떨어질 것을 예상하고 돈을 버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공매도의 작동 방식주식 빌리기: 공매도를 하려면 먼저 증권사에서 주식을 빌립니다. 주식을 실제로 보유하지 않고도 공매도를 할 수 있습니다.주식 매도: 빌린 주식을 시장에서 바로 매도합니다. 이때 주가가 비쌀 때 팔면 더 많은 현금을 얻을 수 있습니다.주가 하락 대기: 주가가 하락하기를 기다..

경제 용어 2025.02.05

PER, PBR, PCR란 무엇인가? 투자자를 위한 필수 지표

PER, PBR, PCR란 무엇인가? 투자자를 위한 필수 지표투자자라면 주식에 대한 평가와 분석이 중요합니다. 그중에서도 기업의 가치를 파악할 수 있는 몇 가지 핵심 재무 지표가 있는데, 바로 PER(주가수익비율), PBR(주가순자산비율), 그리고 PCR(주가현금흐름비율)입니다. 이 세 가지 지표는 기업의 현재 주가가 과대평가 또는 과소평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하지만 각각의 지표가 의미하는 바와 그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PER, PBR, PCR의 개념과 그 활용법을 쉽게 설명하고, 이를 통해 투자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PER(Price to Earnings Ratio) - 주가수익비율PER은 주가가 기업의 순이익에 비해 얼마나..

경제 용어 2025.02.04

ROE란 무엇일까요?

ROE란 무엇인가? 투자 지표로서의 중요성기업의 성과를 평가하는 다양한 재무 지표들 중, ROE(Return on Equity)는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참고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ROE는 기업이 주주들의 자본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나타내는 수익성 지표입니다. 쉽게 말해, 주주들이 회사에 투자한 금액 대비 회사가 얼마나 많은 이익을 얻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 지표는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ROE를 통해 기업이 자기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로 인해 얼마나 많은 이익을 창출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ROE는 어떻게 계산되며, 투자에 어떤 의미를 지닐까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ROE 계산 방법: 쉽게 ..

경제 용어 2025.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