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상호관세 (Reciprocal Tariff)
✅ 개념
- 국가 간 무역에서 동일한 수준의 관세를 적용하는 방식
- A국이 B국 제품에 10% 관세를 부과하면, B국도 A국 제품에 동일한 10% 관세를 부과하는 형태
- 주로 공정한 무역 관계 유지를 위한 조치
✅ 목적
- 특정 국가가 자국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를 일치시켜 무역 조건을 동등하게 맞추는 것
- 무역 협정에서 서로 동일한 조건을 유지하도록 협상할 때 사용됨
✅ 예시
- A국이 자국 제품에 대해 B국이 5% 관세를 부과하자, A국도 B국 제품에 동일한 5% 관세를 적용
2. 보복관세 (Retaliatory Tariff)
✅ 개념
- 상대국의 불공정한 무역 조치에 대한 대응으로 부과하는 관세
- 상대국이 자국에 과도한 관세를 부과하거나 무역 장벽을 높이면, 이에 대한 보복 조치로 관세를 부과
✅ 목적
- 무역 불균형 해소 및 상대국의 조치 철회 유도
- 상대국이 무역 장벽을 높이거나, 덤핑·보조금 같은 불공정한 무역 행위를 할 때 대응하는 방식
✅ 예시
- 미국이 중국 제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도 이에 대한 보복으로 미국 제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
정리: 핵심 차이점
상호관세 | 보복관세 | |
의미 | 무역 상대국과 동일한 수준의 관세 적용 | 상대국의 불공정 조치에 대한 보복성 관세 부과 |
목적 | 무역 조건의 동등한 적용 | 무역 불균형 시정 및 보복 조치 |
주요 사례 | 자유무역 협정(FTA) 등에서 동일한 조건 설정 | 미·중 무역전쟁에서 서로 보복 관세 부과 |
'경제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AI지수 순위는? (0) | 2025.02.27 |
---|---|
리쇼어링(Reshoring)이란? 해외로 나간 공장이 다시 돌아오는 이유 (1) | 2025.02.16 |
거시경제와 내수경제: 차이점과 의미 (1) | 2025.02.12 |
재정 정책과 통화 정책: 경제를 조율하는 두 가지 중요한 수단 (1) | 2025.02.07 |
부가가치세: 우리가 소비하는 동안 보이지 않게 내는 세금 (5)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