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

제세금이란? 알아두어야 할 금융·투자 세금 총정리

갓생동 2025. 2. 17. 12:07

1. 제세금이란?

제세금(諸稅金)이란, 특정 거래나 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다양한 세금과 공과금을 포괄하는 용어입니다. 이는 주식, 예금, 부동산, 복권 등 다양한 금융·경제 활동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금융거래에서 말하는 제세금은 주식 거래 시 부과되는 세금, 배당금·이자소득에 대한 세금, 기타 투자 관련 세금 등을 포함합니다.

 

2. 주식 거래 시 부과되는 제세금

주식 투자 시, 매도할 때만 세금이 부과됩니다. 주식을 매수할 때는 별도의 세금이 없습니다.

2.1. 증권거래세

  • 코스피(유가증권시장): 0.23%
  • 코스닥: 0.23%
  • 장외거래(비상장 주식): 0.43%

증권거래세는 매도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어치 주식을 매도하면 0.23%인 2,300원이 세금으로 부과됩니다.

2.2. 농어촌특별세 (대주주 한정)

  • 코스피 및 코스닥: 0.15% (대주주만 해당)
  • 대주주는 지분율 1% 이상 또는 보유 주식 평가액이 일정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적용됩니다.

2.3. 양도소득세 (대주주 및 해외주식)

  • 국내 주식: 대주주만 양도소득세 부과.
  • 해외 주식: 22% (기본세율 20% + 지방세 2%)
  • 해외 주식은 대주주 여부와 관계없이 연간 250만 원 이상 수익 발생 시 양도소득세 부과됨.

 

3. 배당금과 이자소득에 대한 제세금

주식 배당금이나 은행 예금 이자는 금융소득으로 간주되며, 원천징수세가 부과됩니다.

3.1. 배당소득세 & 이자소득세

  • 소득세 14% + 지방세 1.4% = 총 15.4%
  • 예: 배당금으로 10만 원을 받을 경우, 15,400원이 세금으로 차감되고 84,600원이 입금됨.

3.2. 금융소득 종합과세 (연간 2,000만 원 초과 시)

  • 금융소득(이자 + 배당)이 연간 2,000만 원을 초과하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됨.
  • 누진세율 적용으로 최대 49.5%까지 세금 부과될 수 있음.

 

4. 기타 투자 관련 세금

4.1. 가상자산(비트코인) 세금

  • 2027년부터 시행 예정
  • 연간 250만 원 초과 수익 발생 시 22% 양도소득세 부과 예정

4.2. 복권 당첨금 세금

  • 5만 원 초과 3억 원 이하: 22% 세금 부과
  • 3억 원 초과: 33% 세금 부과

4.3. 부동산 양도소득세

  • 부동산 매매 시 시세차익에 대해 최대 45%까지 양도세 부과 가능
 

5. 세금을 절감하는 방법

장기 투자 활용: 양도소득세가 없는 국내 주식을 장기 보유하면 세금 부담 없음.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활용: 일정 한도 내에서 비과세 혜택 적용.
해외 주식 손익 통산: 해외 주식에서 손실이 발생하면 양도소득세를 줄일 수 있음.
배당소득 분산: 가족 명의 계좌를 활용해 배당소득을 분산시키면 금융소득 종합과세를 피할 수 있음

 

6. 결론

제세금은 금융거래에서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입니다. 특히, 주식 투자 시 증권거래세, 배당소득세,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 등을 정확히 이해하고 투자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세금 절감 방법을 적절히 활용하면 장기적으로 더 높은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 투자를 할 때, 수익뿐만 아니라 세금까지 고려해야 진짜 순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